<구글>

조기는 정말 맛있는 생선이지만, 명절날 제사때 자주 먹는 생선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크기에 따라 가격도 천차만별인 조기효능과 종류와 보관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몸길이는 30센티 내외로 겨울에 제주도 서남방,상해 동쪽의 난해에서 월동한 뒤 북상하여 3월 하순에서 4월 중순경에 위도 칠산탄 부근에 이르고 4월 하순부터 5월 중순 사이엔 연평도 근해에 이른다고해요. 6월 상순경엔 압록강 부근에 이르고 하순엔 발해만에 도달하여 천해 간석지엔 산란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해요. 회유할때 개구기락 떼를 지어 우는 것 같은 소시를 내면서 물 위로 튀어오르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고해요.

 

농밀한 어군이 일제히 소리를 낼때엔 인근에서 배에 탄 사람들이 시끄럽게 느낄 정도라고해요. 보구치는 참조기와 비슷하게 생겼으니 몸빛이 백색이고 꼬리지느러미 긑이 참빗 모양으로 생긴 것이 다르다고해요. 수조기는 몸이 비교적 길고 납작하다고해요. 위턱이 아래턱보다 길며 몸빛은 황적을 띤다고해요. 각 비늘 줄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비스듬한 흑색띠는 옆줄의 위쪽에 있고 군데군데 중단되어 있다고해요. 몸길이는 40센티가 넘으며 우리나라 서남 연해와 일본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고해요.

 

부세는 몸이 작은 민어와 유사하고 몸빛은 적황색이라고해요. 몸길이는 대개 50센티가 넘는다고해요. 남부 및 서남부 근해에서 중국 연해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고해요. 흑조기는 몸이 민어와 비슷하나 구강 및 새강이 흑색이라고해요. 몸길이는 38.5센티내외이고 우리나라의 다도해 이남과 일본과 대만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고해요.

 

 

[ 조기 종류 ]

참조기와 보구치,수조기,부세,흑조기 등이 이에 속한다고해요. 참조기는 몸이 길고 옆으로 납잡하고 꼬리자루가 가늘고 길다고해요. 등지느러미 연조부와 뒷지느러미에 거의 연변까지 비늘이 있다고해요. 몸빛은 회색을 띤 황금색이고 입이 홍색을 띠고 있는 점과 새강 및 장간막이 흑색인 점이 민어속과 구별되는 큰 차이점이라고해요.

 

 

[ 구입 요령 ]

비늘이 은빛이고 살이 탄력 있는 것을 고르면 좋다고해요.

 

 

[ 손질법 ]

비늘고 지느러미, 내장을 제거하고 흐르는 물에 씻은 후 사용하시면 되세요.

 

 

[ 보관법 ]

내장을 먼저 제거하고 배의 내부와 표면을 흐르는 물로 잘 씻는 후, 물기가 남지 않도록 물을 충분히 뺀 다음 소금을 뿌리고 한번 먹을 분량만큼 랩으로 싸서 냉동 보관하면 된다고해요. 보관일은 15일이라고해요.

 

 

[ 섭취방법 ]

소금에 절여 만든 조기젓은 조선시대 때 고급 젓갈로 애용하였다고해요. 그리고 구이나 찜,조림,매운탕,맑은 국등으로 이용된다고해요.

 

 
 

[ 조기의 옛 이름 ]

● 훈몽자회 : 종자를 조기 종이라고 하고 석수어라고 하였다해요.

● 송남잡지 : 머리에 돌이 있으므로 석수어라는 이름이 붙었다해요.

● 화음방언자의해 : 우리말 석수어는 곧 중국어의 종어인데 종어라는 음이 급하게 발음되어 조기로 변하였다해요. 

● 송남잡지 : 종의 음이 조기로 변하였다해요.

● 고금석림 : 석수어의 속명이 조기인데 이는 사람의 기를 도우는 것이라고 하였다해요. 그리고 조기를 천지어라고도 하였고 조기를 말려 굴비를 만들때 항상 옥상에서 말리나, 접동새나 고양이가 감히 이를 취하여 먹을수가 없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라고해요.

● 자산어보 : 석수어에 속하는 어류로서 대면,속명 애우질,면어,속명 민어,추수어,속명 조기를 들고, 추수어 중 조금 큰것을 보구치, 조금 작은 것을 반애,가장 작은 것을 황석어라고 하였다해요.

● 난호어목지 : 석수어를 한글로 조긔라 하고 몸이 평편하고 비늘이 잘고 등은 담흑색이며 몸 전체는 황백색이라고 하였다고해요.

 

 

 

대면의 큰것은 주척으로 10척 남짓 하다고 하였으며 그 모양은 면어와 유사한데 빛깔이 황흑색이라고 하였다고해요. 3~4월에 수면에 떠오르는 것을 어부들이 맨손으로 잡는다거나 간에는 대독이 있다고도 하는데 어떤 종류인지 알기 힘들다고해요.

 

추수어에 대해서는 " 큰놈은 1척 남짓하고 모양은 면어와 유사하나 몸이 작고 맛도 면어와 유사하나 더욱 담백하고 용도도 면어와 같다고해요. 알은 젓을 담그는데 좋으며, 흥양 바깥 섬에서는 춘분 뒤에 그물로 잡고 칠산해에서는 한식 뛰에 그물로 잡고, 해주 전양에서는 소만 뒤에 그물로 잡으며 흑산 바다에서는 6~7월 밤에 낚기 시작한다고해요. 왜냐하면, 물이 맑기 때문에 낮에는 낚시를 물지 않는다고 해서요. 산란이 이미 끝났으므로 맛이 봄 것보다는 못하여 어포로 만들어도 오래 가지 못한다고해요. 가을이 되면 조금 낫다고 하는데요. 때를 따라 물을 쫓아오므로 추수어라 한다고해요. 요즘엔 사람들이 이를 그물로 잡을때 그 어군이 내유하는 것을 만나면 산더미처럼 잡아 이를 모두 배에 실을수 없다"라고 하였다고해요. 이는 참조기를 두고 한말인 것으로 추측된다고해요.

 

 

[ 조기 효능 ]

 

위 건강에 좋다.

조기는 따듯한 성질로 속을 편안하게 하고 소화작용을 촉진해 위를 건강하게 해주며, 소화불량이나 신경성 위장질환 등을 예방하고 증상을 개선해준다고해요.

 

성장발육에 좋다.

단백질 성분이 많이 들어 있고, 칼슘과 철분등의 미네랄 성분이 들어 있어, 성장 및 골격을 발달시켜주어 성장기 어린이의 성장발육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해요.

 

다이어트에 좋다.

100g 138칼로리인 조기는 열량이 낮을뿐 아니라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어 다이어트 하시는 분들에게 좋다고해요.

 

뼈건강에 좋다.

칼슘과 인 성분이 들어 있는데요. 이 성분은 뼈를 튼튼하게 해주고 골밀도를 강화시키는데 뛰어나다고해요. 또한, 골다공증과 같은 뼈질환에 좋다고해요.

 

위장 건강에 좋다.

나이아신 성분이 들어 있는데요. 이 성분은 탄수화물이나 지방 등의 분해를 돕고 소화기 쪽에 건강을 촉진하는데 좋다고해요. 또 비타민A와 칼륨 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 위 건강에 좋고, 지방질이 적어 소화가 잘되어 소화기관이 약한 노인들에게도 좋다고해요. 

 

기력회복에 좋다.

단백질과 미네랄 성분이 많이 들어 있는데요. 이 성분들은 몸 안에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기력을 회복하고 원기를 보충하는데 좋다고해요. 

 

시력개선에 좋다.

비타민A 성분이 들어 있는데요. 이 성분은 눈의 피로를 풀어주고 시력을 보호해주어 시력개선에 좋다고해요. 또한 야맹증이나 백내장과 같은 안구 질환도 예방해준다고해요.

 

전립선에 좋다.

조기는 전립선을 튼튼하게 해주고 배뇨작용을 돕는 역할을 한다고하는데요. 소변 배출을 원활하게 해주기 때문에 요로결석을 배출해주는데 좋다고해요. 조기의 머리안에 있는 돌 같은 뼈를 가루로 갈아 섭취하면 요도안에 있는 결석을 배출하는데 좋다고해요. 그래서 전립선에 좋다고해요.

 

 

 

조기는 우리나라 동해엔 없고 서남해에서만 난다고해요. 곡우 전후에 떼를 지어 남쪽으로부터 서쪽으로 회유하며 이의 어획은 호남의 칠산에서 시작하여 해서의 연평해에서 성하고 관서의 덕도 전양에서 끝난다고 해요. 그 유통과 소비에 관해선 상인들이 운집하여 배로 사방에 실어나라는데 소금에 절여 포로 만들거나 소금에 담가 젓을 만들어 전국에 넘쳐흐른다고 하였으며, 귀한 사람이나 천한 사람을 막론하고 모두 이를 좋아하고 해족중에서 가장 많고 가장 맛이 있었다해요.

 

조기어업의 역사는 매우 깊어 세종실록 지리지에 의하면 전라남도 영광군의 기사에 "석수어는 군 서쪽의 파시평에서 난다,봄과 여름이 교차하는 때에 여러 곳의 어선이 모두 여기에 모여 그물로 잡는다. 관에서는 세금을 거두어 국용에 쓴다"라고 하였다고해요. 황해도 해주목의 기사에서도 석수어는 주의 남쪽 연평평에서 난다고 하고 어업실태에 대해선 영광군과 동일한 내용을 싣고 있다고해요.

 

이때 이미 참조기의 주산지에서는 조기어업이 대성황을 이루고 있었으며, 파시가 형성되어 있기도 하였음을 알수 있다고해요. 중선망 같은 어망으로 잡았을 것이고 어전에도 많이 잡혔을 것이라고해요. 조기어업은 조선시대 전반을 통해 성하였다고해요. 전라도지방에선 함경도의 명태처럼 많이 잡힌다고 해서 전라도 명태라는 별명을 지니고 있다고해요. 19세기 말에 일본에서 안강망이 전래되자 어획능률이 크게 향상되어 많이 잡힐때엔 한 그물에 4만~5만 마리를 잡았고 때론 어망 속에 조기가 충만해 끌어올릴수가 없었으며 어망이 파손되는 경우도 있었다고해요.

 

 

 

 

조기는 여러가지로 가공되어 소비되었지만 그중에서도 굴비가 가장 유명하였고 지금도 그러하다고해요. 증보산림경제에서는 소금에 절여 통째로 말린 것이 배를 갈라 말린 것보다 맛이 낫다고 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굴비라고해요. 고려시대의 척신 이자겸이 왕을 모해하려다가 탄로되어 1126년 인종 4 정주(영광)로 유배되었는데요. 그곳에서 굴비를 먹어 보고는 그맛을 모르고 개경에 살았던 것을 후회하였다는 일화도 전한다고해요. 정주굴비로 이름이 알려져 있던 영광굴비가 이미 고려시대부터 유명하였음을 알수 있다고해요.

 

곡우 때 잡힌 산란 직전의 조기는 곡우살 조기나 오사리 조기라 하여 가장 좋은 일품으로 치고 있고 이것으로 만든 굴비는 곡우살 굴비나 오가재비 굴비라 하여 특품으로 취급된다고해요. 조선시대 문헌에 굴비와 구비석수어,구을비석수등으로 기재되어 있는 것이 모두 굴비라고해요. 이는 공상품의 하나이기도 하였다고해요.

 

조기는 고온다습한 시기에 대량으로 어획되므로 그 보장방법으로 굴비와 같은 염건품의 가공법이 발달하였는데 이는 민족이 개발한 우수한 수산가공품의 하나로서 자랑할말한 것이라고해요. 조기는 주로 기선저인망,선망,유자망,안강망 등으로 잡는다고해요. 과거엔 자원이 풍부하여 전라도 지방의 뱃노래에 " 돈 실로 가자 돈실로 가자 칠산 바다로 돈 실로 가자"라는 노래가 있을 정도였다고해요. 지금은 남획으로 참조기를 비롯한 조기류의 자원이 감소일로에 있어 조기값이 금값으로 뛰고 있는 실정이라고해요.

+ Recent posts